Posts List

Translate

2014년 5월 17일 토요일

데이터 모델링 표기법 이해

1. 바커 표기법(Barker Notation)
가. 엔티티(Entity)
    엔티티가 되기 위해서는 두 개 이상의 속성을 가져야 한다.
    속성이 없는 실체는 존재할 수 없다. 엔티티란 실제 세상세 있는 객체이다.

• 엔티티는 네 부분의 모서리가 둥근 형태인 소프트-박스(Soft-box)로 표현
• 엔티티는 하나 이상의 속성으로 구성된다.


바터 엔터티 예














나. 속성(Attribute)
속성은 하나의 엔티티에 종속되는 명사적 단어들
일반적으로 명사적 단어 중에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는 명사들은 엔티티가 되고
그렇지 못한 명사들은 속성이 된다.
* : 어떤 값을 반드시 저장해야 하는 경우
o : 어떤 값이 존재할 수도 있고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는 경우


바커 속성 예
















다. 관계(Relationship)
 두 개의 엔티티 간에 카디널리티를 표기한 후 해당 엔티티의 가까운 위치에 관계 명칭을 표기
 실세계의 해당 엔티티에서 발생하는 동사적 단어들을 표기한다.
관계

1) 엔티티와 엔티티 간의 관계
■ 1:1 관계
■ 1:M 관계
■ M:M 관계

2) 엔티티와 엔티티 간 상관 관계의 조건
■ 필수 조건
   필수 사항은 실선으로 표시하고 상대 엔티티에 대해 해당 엔티티에 조건을 만족하는 엔티티가
   반드시 존재할 경우에 표시
■ 선택 조건
   선택 사항은 점선으로 표시하고 상대 엔티티에 대해 해당 엔티티에 조건을 만족하는 엔티티가
   존재할 수도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을 경우 표시

바커 관계 예















라. 식별자(Unique Identifier)
하나의 엔티티에 구성되어 있는 여러 개의 속성 중에 엔티티를 대표할 수 있는 속성
하나의 엔티티에는 반드시 하나의 식별자가 존재
논리 데이터 모델링 단계 : 식별자
물리 데이터 모델링 단계 : 키

1) 식별자의 유형
■ 본질 식별자
   속성 중에서 집합의 본질을 명확하게 설명할 수 있는 의미상의 주어
   인조 식별자 : 사원번호, 상품번호처럼 집합을 식별하기 위해 임의의 유일 값을 사용
   내가 태어나기 위해서 절대적으로 존재했어야만 하는 본질 속성들에 해당하는 것으로
   자신의 고유 속성과 부모로부터 물려받은 속성들로 이루어진 식별자도 있다.

■ 후보 식별자
   각 인스턴스를 유일하게 식별할 수 있는 속성 또는 속성들의 집합,
   후보 식별자로 속성 집합을 선택하는 경우에는 개념적으로 유일해야 한다.

■ 대체(보조) 식별자
   보조 식별자 : 원래의 식별자를 대신할 수 있는 또는 다른 속성들이나 릴레이션십을 말한다.
   예) 주민등록번호 : 유일한 값이면서 필수적으로 정의해야 하는 값

■ 인조 식별자
   식별자 확정 시 기존의 본질 식별자를 그래로 실질 식별자로 인정할 수 없는 여러가지 상황이
   발생했을 때, 임의의 값을 가진 속성들로 대체하여 새롭게 구성

■ 실질 식별자
   인스턴스를 식별하기 위해 공식적으로 부여된 식별자

바커 식별자 예

마. 서브타입(Sub-type)
    슈퍼타입 안에 서브타입을 상자로 나타낸다.
    이것은 다이어그램에서 공간을 적게 사용하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.
    서브타입은 서브타입의 중복을 허락하지 않는 상호 배타적 관계이다.

바커 서브타입 예














바. 관계의 표현 비교

바커 표기법의 관계의 표현 예

















2. I/E 표기법
가. 엔터티(Entity)
I/E 엑터티 예
나. 속성(Attribute)
I/E 속성 예

다. 관계(Relationship)

라. 식별자(Unique Identifier)
I/E 식별자 예














마. 서브타입(Sub-type)
1)배타적 서브타입


I/E 배타적 서브타입 예


















2)포괄적 서브타입


포괄적 서브타입 예


댓글 없음 :

댓글 쓰기